알고리즘 책이나 강의를 보면 항상 초반에 한 가지 탐색 방법이 소개 됩니다. 이분탐색(binary search)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는 이 알고리즘은 보통 책이나 강좌의 앞쪽에 소개 되는데다 그 개념 자체가 이해하기 어렵지 않기 때문에 배울 때는 큰 어려움이 없지만, 의외로 코딩테스트의 문제로 만나게 되면 문제를 쉽게 풀 수 없게 만드는 복병이 되기도 합니다. 오늘은 이 이분 탐색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고 실제 코딩 테스트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생각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이분탐색의 개념은 매우 간단하고 직관적입니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스무고개 놀이를 한 번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부터 100사이에 있는 숫자를 하나 생각하고 가능한 적은 횟수의 추측으로 이 숫자를 알아내는 방법을 생각..

정렬(Sort)은 알고리즘 과목에서 항상 단골로 출제되는 영역입니다. 오늘은 그 중에서 힙 정렬(Heapsort)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이 정렬 알고리즘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힙(heap)이라는 독특한 자료구조에 대해 먼저 이해 해야 합니다. 그런데 이 heap을 알려면 우선순위큐(Priority Queue)를 또 먼저 알아야 합니다. 그러면 또 그냥 큐(Queue)가 뭔지도 알아야겠죠. 점점 일이 복잡해 지니까 아주 단순하게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각각의 개념에 대해 부족한 설명은 추후에 (가능하다면)포스트 하도록 하겠습니다. 큐(Queue)는 컴퓨터의 기본적인 자료구조의 일종입니다. 먼저 삽입된 데이터가 먼저 나오는 FIFO(First In First Out)구조로 되어 있는데 화장실 앞에 줄..

여러가지 일을 다 잘하는 사람은 드물어도 한 가지 일을 기가막히게 잘 하는 사람은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습니다. 누구나 한 가지 일을 오랜시간 반복하다 보면 '생활의 달인'소리를 들을만큼 전문성을 갖출 수 있겠죠(물론 그게 영 안되는 저 같은 사람도 있긴 합니다). 그리고 생산라인을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부문으로 나누어 구성하는 것을 '분업화' 라고 하지요. 분업화는 등장하는 동시에 이전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엄청난 생산성의 향상을 가져 왔습니다. 현재는 사회 전반에 걸쳐 이런 분업화가 잘 정착되어 있습니다. 제가 일하는 회사만 해도 서비스에 대한 기획과 개발, 운영이 각각 다른 팀에서 이루어지고 있고 개발팀은 다시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디자인 등의 분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분업화를..

컨테이너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이 있을 때 마다 HttpServletRequest와 HttpServletResponse 객체를 생성하고 서블릿 인스턴스를 찾아 실행시킵니다. 그런데 클라이언트의 요청은 순차적으로 이어지지 않을 확률이 높습니다. 서비스의 규모가 크다면 수 많은 요청이 한 번에 일어나게 되겠죠. 그래서 컨테이너는 요청이 들어올 때 마다 새로운 스레드를 생성하거나 스레드풀에서 스레드를 가져와서 요청을 처리하게 됩니다. 서블릿의 동작구조는 지난 포스트를 참조 부탁드립니다. 스레드는 사용자에게 한 번에 여러가지 일을 처리하는 것 처럼 보이게 만들지만 실제로는 아주 빠른 속도로 스레드를 오가며 작업을 처리하는 것에 불과합니다. CPU는 한 번에 한 가지의 작업만 처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
1. standard html/xml comments 표준 html/xml 주석( )은 thymeleaf templates 어디서나 사용가능하다. 이 주석 안에 어떤 것이 들어가더라도 백엔드에서나 프론트엔드에서 실제로 수행 되지 않는다. 단순히 결과에 그대로 복사될 뿐이다. 2. Thymeleaf parser-level comment blocks parser-level comment block들은 thymeleaf가 문서를 파싱할 때 템플릿에서 제거되는 코드를 의미한다. thymeleaf는 이 블록 안에 있는 모든 것들을 완전하게 제거한다. 3. Thymeleaf prototype-only comment blocks thymeleaf에는 템플릿이 static하게 보여질 때만 주석이 되는 특별한 주석 블록..
이제 어떤 url에 어떤 클래스를 로드해야 하는지를 알게 되었습니다. 이 때 로드하는 클래스가 바로 동적으로 페이지를 만들어 내는 Servlet이 됩니다. 동적으로 페이지를 만드는 것은 제가 만드는 Web Application Server 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이라고 할 수 있고 사실 이 프로젝트의 핵심입니다. 먼저 Servlet 클래스를 만들도록 하겠습니다. 이 Web Application Server 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이 Servlet 클래스를 상속받아서 사용하게 됩니다. public class Servlet { private static final String GET = "GET"; private static final String POST = "POST"; private static final..

지난번 포스팅에서 클래스로더를 알아본다고 했는데 순서를 좀 바꾸겠습니다. 어떤 url을 입력 받았을 때 어떤 서블릿을 동작해야 하는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서블릿은 배포서술자(물론 애너테이션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이 프로젝트에서는 고려하지 않도록 하겠습니다)를 통해서 매핑됩니다. 컨테이너는 이 배포서술자 파일을 통해 url과 일치하는 클래스를 찾아서 로드하게 됩니다. 배포서술자는 보통 xml 파일로 만들어지고 다음과 같은 구조를 하고 있습니다. web.xml 이라는 이름을 가진 xml 파일에 배포와 관련된 여러가지 설정 정보들을 담게 됩니다. 사실 이 배포서술자 안에 기술될 수 있는 정보는 매우 많지만 이 프로젝트에서는 서블릿 매핑 부분만 구현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배포서술자나 애너테이션에 대..
오늘의 미션, 만약 view 단에서 보여줘야 하는 데이터가 없으면(아마도 DB에서 삭제된 경우) 프론트단에 데이터를 보여주는 div 태그를 없애야 한다. 아 그야 식은 죽 먹기죠. data가 null인지 아닌지 판단해서 null이 아닐 때만 보여주면 되는거 아니겠습니까 아래 코드처럼요. ... 그런데 문제가 하나 더 있네요. 만약 null 값이 아니라 빈 문자열이 들어온다면 어떻게 해야 하죠? 그럼 코드가 이런식이 되어야 할 것 같은데... ... 데이터가 null 일수도 있고 빈 문자열일 수도 있을 때도 있다면 조건문을 두 개 써야 겠군요. 그런데 그냥 컨트롤러에서 처리해서 넘겨준다면 조금 더 편할 것 같습니다. if (examData.isEmpty()) { model.addAttribute("exam..
- Total
- Today
- Yesterday
- 문장 생성기
- 자바스크립트개론
- 크롬
- 경고
- java
- 전략패턴
- 클린코드
- html
- 마르코프
- REST API
- markov chain
- restful api
- Warning
- 몰라서망신
- Markov
- DP
- 유지보수
- 동적계획법
- Count
- was
- RESTful
- 야근
- 마르코프 연쇄
- 로그
- 코딩의 기술
- GROUP BY
- 자바스크립트 개론
- 디자인패턴
- Spring in Action
- CONVENTION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