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웹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방식을 단순하게 표현하면 위의 그림과 같을 것입니다. 클라이언트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 서버에 필요한 자원을 요청하면 서버가 사용자가 요청한 것을 넘겨 주게 되겠죠. 자원(resource)이라고 하는 것은 HTML 페이지나 그림파일 혹은 PDF 파일이 될 수도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면 서버는 그 요청에 응답한다는 것입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요청과 응답을 주고 받기 위해서는 서로 같은 규칙을 가지고 대화해야 합니다.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주로 사용하는 대화의 규칙은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입니다. 클라이언트가 HTTP 요청을 보내면 서버는 HTTP 응답으로 대답합니다. HTTP는 이렇게 요청(Request)과 응답(R..
language/Servlet&JSP
2019. 4. 24. 16:16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야근
- Spring in Action
- 문장 생성기
- Warning
- markov chain
- restful api
- Markov
- 코딩의 기술
- 클린코드
- 마르코프 연쇄
- java
- Count
- 동적계획법
- 자바스크립트 개론
- 크롬
- REST API
- was
- 자바스크립트개론
- RESTful
- 로그
- 경고
- 몰라서망신
- GROUP BY
- 디자인패턴
- CONVENTIONS
- 유지보수
- 마르코프
- html
- DP
- 전략패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
반응형